리오하의 별, 엘 꼬또(El Coto) 

스페인 와인에 대해 이야기할 때 가장 먼저 언급하게 되는 지역은스페인의 보르도라 불리는 리오하(Rioja)이다. 프랑스에 필록세라가 퍼졌을 때 보르도의 와인 생산자들이 리오하로 이주하며 와인제조기술이 더욱 발달하게 되었던 역사가 있고, 이후 스페인 와인산업의 성공을 주도한 지역이기도 하다. 리오하는 템프라니요(Tempranillo) 품종으로 만든 레드 와인이 유명하며 스페인에서 가장 우수한 와인을 생산하는 지역으로 인정받고 있다. 한국에서도 리오하의 와인은 쉽게 만날 수 있는 편인데, 최근 새로운 와인이 소개되어 주목 받고 있다. 바로 숫사슴 심볼이 인상적인 와인, 엘 꼬또(El Coto)이다.  

 

엘 꼬또, 리오하의 유명세를 한국으로

왜 이제야 만나게 되었을까, 싶은 대상이 종종 있다. 한국의 와인애호가들에게는 얼마 전부터 국내에 수입되기 시작한 엘 꼬또 와인이 그런 존재가 될 것이다. 스페인 현지에서의 유명세에 비하면 엘 꼬또의 한국 런칭은 조금 늦은 감이 있다. 엘 꼬또 크리안자(El Coto Crianza)의 경우, 스페인 내에서는 별도의 판촉 활동이나 광고 캠페인을 할 필요가 없을 정도로 많은 사랑을 받고 있고, 유럽과 미주 시장에서도 리오하의 품질 좋은 테이블 와인으로 잘 알려져 있다.

엘 꼬또의 상징인 숫사슴 그림은 포도원 위치가 과거에 귀족 소유의 사냥터 지역이었던 것에서 유래한다. 엘 꼬또 와이너리의 역사는 그리 길지 않지만 그간에 이뤄낸 성장세는 놀랍다. 1970년 스페인의 산업은행인 ‘Bankunión’의 투자에 의해 리오하 지역에 설립되었고, 1978년 이 은행의 에듀아르도 산토스 루이스(Eduardo Santos Ruiz) 이사가 와이너리의 경영권을 넘겨받으며 중요한 전환점을 찍게 된다. 그는 조직 경영을 다지고 투자를 확대해 와이너리를 성공적인 궤도에 올려놓았다. 1985년에 바롱 드 레이(Baron de Ley) 브랜드를 생산할 회사를 설립했고, 1990년부터 엄청난 성장세를 타고 부상했으며 1997년에는 스페인 와이너리 그룹 중 최초로 주식거래소에 상장되기도 했다. 짧은 기간 내에 스페인의 스타 와이너리로 떠오른 셈이다 

스페인 와인 비즈니스의 성공 모델

엘 꼬또는 스페인 와인업계에서 가장 성공적인 비즈니스 모델로 손꼽힌다. 엘 꼬또의 가장 큰 성공요인은 수익의 대부분을 기술과 시설에 과감히 재투자했다는 점이다. 초창기부터 포도밭 및 오크 배럴 매입에 공을 들인 덕분에 와이너리의 규모가 두 배 이상으로 성장하는 데 그리 오랜 시간이 걸리지 않았다. 또 기술력의 발 빠른 업그레이드를 통해 끊임없이 와인의 질적 향상을 추구했다.

엘 꼬또의 빈야드는 리오하 전역, 특히 에브로(Ebro)강을 중심으로 강둑의 북안과 남안에 주로 분포해 있으며, 모든 빈야드는 각 분야의 전문가들로 이뤄진 양조팀에서 직접 관리한다. 그 중에서는 최고의 프리미엄급 와인만을 위한 포도를 별도로 생산하는 소유지도 있다. 엘 꼬또의 모든 레드 와인은 오크 배럴 숙성을 거치는데, 8만여 개 오크 배럴의 평균 사용 연령은 약 3년으로, 교체 주기가 짧아 매년 엄청난 투자가 이뤄짐을 알 수 있다. BRC(British Retail Consortium, 영국소매협회) ISF(International Food Standard, 국제식품규격)에서 와이너리로서 받을 수 있는 가장 높은 등급을 받았다는 사실이 엘 꼬또의 지속적인 노력과 품질에 대한 고민을 나타내준다.

 

한국에 소개되는 엘 꼬또의 5가지 와인

유일한 화이트 와인인 엘 꼬또 블랑코(El Coto Blanco) 100퍼센트 비우라(Viura) 품종의 매력을 고스란히 전한다. 산도는 그리 높지 않으면서 드라이하고 상큼한 느낌이 입 안에 오래 지속된다. 레드 와인 중에서 가장 깊은 인상을 남긴 와인은 엘 꼬또 크리안자(El Coto Crianza)였다. 엘 꼬또의 대표 선수라 할만한 이 와인은 은은한 바닐라향과 복합적인 과실향이 어우러져 편안한 느낌을 주며, 훌륭한 밸런스를 보인다. 캐주얼한 이탈리안 음식 대부분과 매칭하기에 좋을 법하다. 부드러운 질감과 함께 다크 초컬릿향을 전하는 꼬또 데 이마스 리제르바(Coto de Imaz Reserva)나 과실향과 가죽, 낙엽 등의 복합적인 아로마를 간직한 꼬또 데 이마스 그랑 리제르바(Coto de Imaz Gran Reserva)는 모두 양고기와 같은 육류와 잘 어울릴만한 와인이다. 위의 세가지 레드 와인은 모두 템프라니요 100퍼센트로 양조되었다. 그리고 꼬또 레알 리제르바(Coto Real Reserva)는 템프라니요 80퍼센트에 그라시아노(Graciano) 10퍼센트, 그르나슈(Grenache) 10퍼센트를 블렌딩했다. 모두 50~90년 정도의 수령이 오래된 나무에서 한정적으로 재배한 포도로만 생산하며, 파워풀한 타닌의 전형적인 풀바디 와인으로 오픈 후 시간이 지남에 따라 다양한 풍미를 보여준다. 엘 꼬또에서 내놓은 최상급 와인이며 시간을 두고 다채로운 매력을 느껴보길 권한다.  

 

글_ 안미영 

사진제공_ 엘비와인

* 와인21닷컴에 보도된 기사입니다.

Posted by Miyoung Ahn
,

브라이다(Braida), 바르베라를 재발견하다

사람과의 만남에서건, 와인과의 만남에서건 ‘첫인상’이라는 건 굳이 큰 의미부여를 하지 않으려 해도 이후 관계에 영향을 끼치기 마련이다. 와인과의 첫만남 후, 이름과 레이블이 주는 강렬한 이미지 때문에 꼭 다시 만나고 싶은 리스트에 올라가있는 와인들이 있다. 이탈리아 피에몬테 지역에서 생산되는 브라이다(Braida)의 일 바치알레(Il Baciale) 역시 그런 와인 중 하나였다. 레이블에 세련된 서체로 배열된 ‘Il Baciale’는 ‘중매쟁이’라는 재미있는 뜻을 가지고 있는데, 이는 피에몬테 지방의 방언이라고 한다. 스파이시한 풍미와 부드러운 여운 덕분에 맛 또한 좋은 인상으로 기억되었다.
이탈리아에서도 바르베라(Barbera)를 잘 생산하는 와이너리로 유명한 브라이다는 최근 새로운 수입사를 만났다. 그리고 지난 3월 8일 무학주류에서 주최한 와인 메이커스 디너에는 와이너리의 오너인 라파엘라 볼로냐(Raffaella Bologna)가 방문해 브라이다를 소개하고 6가지 와인을 함께 시음했다. 한국에 가장 많이 알려져 있는 일 바치알레 외에도, 각각 다양한 이야기들을 간직하고 있는 브라이다 와인들의 개성을 확인해볼 수 있었다.

브라이다의 창의적 행보가족 경영 와이너리인 브라이다는 1961년 이탈리아 피에몬테에 세워졌다. 그리 길지 않은 역사에도 불구하고 이탈리아의 10대 와이너리 중 하나로 손꼽히게 된 것은 창업자 자꼬모 볼로냐(Giacogo Bologna)의 열정 덕분이다. 현재 오너인 라파엘라 볼로냐의 선친인 그는 와이너리 설립 당시에 저평가되고 있던 바르베라의 품질 향상을 위해 새로운 시도를 했다. 작은 프렌치 오크배럴에서 바르베라가 더욱 맛있게 생산된다는 것을 알고 피에몬테에서 가장 먼저 프렌치 오크를 사용했으며, 바르베라를 가장 좋은 토양과 일조량이 풍부한 곳에서 재배해 그 가능성을 최대한으로 이끌어내었다. 그리고 바르베라에 관한 기술과 노하우를 이탈리아의 와인메이커들에게 아낌없이 전수하기도 했다.
브라이다의 남다른 시도는 전체적으로 이탈리아 와인의 품질 향상에도 기여했다는 평가를 받아, 이탈리아의 세계적인 와인 박람회인 빈이탈리(Vinitaly)가 선정한 ‘최근 30년간 이탈리아 와인 산업에 큰 영향을 끼친 12개 와이너리’에도 이름을 올렸다. 또한 이탈리아의 유명 와인 평가 매체인 감베로 로쏘(Gambero Rosso)로부터는 10년 이상 ‘3 glass’ 만점을 받는 등 품질 면에서도 높은 평가를 받고 있다.

바르베라를 향한 뜨거운 예찬
한국에서 여러 차례 와인 메이커스 디너를 진행해온 라파엘라는 자신의 아버지가 이뤄낸 브라이다의 명성은 모든 사람들이 즐겁게 마실 수 있는 와인을 만들고자 하는 마음에서 출발한 것이라 말했다. 그녀는 “내 몸에는 바르베라가 흐르고 있다”는 표현을 할 정도로 ‘바르베라 예찬’을 이어갔다.
피에몬테 지역 포도 생산량의 50% 정도를 차지해 네비올로와 함께 피에몬테를 대표하는 품종으로 꼽히는 바르베라는 소박한 스타일이지만 잘 숙성시켜 잠재력을 끌어내면 묵직하고 중후한 와인을 만들 수 있다. 특유의 강한 신맛은 식욕을 자극하는 역할을 하며, 다양한 음식과의 매칭에서도 훌륭한 조화를 보여준다. 예전에는 산미가 강하다는 것이 단점으로 여겨졌지만 지금은 이것이 바르베라의 장점이 되었다. 이런 인식 변화에 브라이다가 큰 역할을 했음은 물론이다. 현재 브라이다가 한국에 소개하고 있는 와인도 대부분 바르베라 100%이거나 바르베라를 주품종으로 블렌딩한 와인이다.

브라이다 와인들의 흥미로운 스토리
일 바치알레를 ‘중매쟁이 와인’으로 기억하는 것처럼 브라이다의 와인들은 브랜드와 레이블에 얽힌 여러 가지 흥미로운 이야기가 많은데, 이를 통해 각 와인의 개성을 엿볼 수 있다. 먼저, 와이너리의 이름은 창업자 자꼬모 볼로냐가 주말마다 즐기던 피에몬테의 전통 게임에서 ‘챔피언’이란 의미의 ‘브라이다(Braida)’라는 닉네임을 가지게 된 데서 비롯되었다고 한다.
라파엘라가 와이너리에서 일상적으로 즐기는 와인이라고 소개한 몬테브루나(Montebruna)는 레이블에 작은 글씨가 모여 디자인된 것을 볼 수 있는데, 이는 포도원에서 영감을 얻어 쓴 시를 예술적으로 표현한 것이다. 일 바치알레가 바르베라와 다른 품종들과의 조화를 보여준다면, 몬테브루나는 바르베라만의 매력을 느낄 수 있다. 산 정상을 의미하는 ‘브리꼬(Bricco)’와 큰 새를 의미하는 ‘우첼로네(Uccellone)’가 만난 브리꼬 델 우첼로네(Bricco dell’Uccellone)는 은은한 과실 향에 묵직한 바디감이 느껴지는 와인이다. 로체타 타나로(Rochetta Tanaro) 지역의 정상에서 수확한 바르베라로 양조한다. 또 브라이다를 대표하는 와인인 아이수마(Ai Suma)는 ‘우리가 해냈다’라는 감탄의 뜻을 담고 있어, 최고 품질에 대한 자부심을 나타낸다. 상당히 무게감이 있으면서도 섬세하고 화려한 풍미가 돋보인다.
브라이다가 내놓은 모스카토인 지 모스카토 다스티(G Moscato d’Asti)는 디저트와 함께 언제든 편안하게 마실만한 와인이고, 옅은 루비 컬러가 아름다운 브라케토 다퀴(Brachetto d’Aqui)는 베리류의 향과 장미향이 오랜 여운을 남겼다. 초컬릿과 가장 잘 어울리는 와인으로 손꼽히지만 그 자체로도 충분히 매력적이므로, 재배가 까다롭고 손이 많이 가는 품종인 브라케토에서 빚어낸 보물이라 할만했다.


글_ 안미영
사진제공_ 무학주류

* 와인21닷컴에 보도된 기사입니다.

Posted by Miyoung Ahn
,


자연에 보내는 찬사
, 옐랜즈(Yealands)

 

드디어 봄이 오는 것일까. 3월 초의 날씨는 마치 연애에 능수능란한 사람과 비슷한 느낌이다. 성큼 다가왔다가 또 어느새 찬바람을 불러일으키며 물러선다. 따스한 나날을 기다리며 기대감에 차오른 마음을 잠시 내려놓게 만드는 날씨는 밀고 당기기에 강한 연애 상대가 아니고 무엇이란 말인가. 어서 따사로운 햇살이 머뭇거림 없이 다가와 덥석 손잡아주길 기다리며, 자연스레 봄날에 어울리는 와인들을 하나하나 떠올려본다.

 

봄날, 새로운 뉴질랜드 와인의 런칭

이즈음 기분 좋은 런칭 소식이 들려왔다. 뉴질랜드의 친환경 와이너리 옐랜즈(Yealands)의 와인이 한국에 두 종류의 소비뇽블랑과 두 종류의 피노누아를 선보인다는 것. 지난 3 5일 저녁, 이 와인들과의 만남을 가질 기회가 있었다. 뉴질랜드 대사관에서 개최된 이번 행사는 LG상사 트윈와인에서 수입해 한국에 첫 선을 보이는 옐랜즈의 와인들을 시음하는 스탠딩 파티였다. 이 행사에는 트윈와인의 홍수 대표와 뉴질랜드 대사관의 패트릭 라타(Patrick Rata) 대사, 그리고 옐랜즈 와이너리의 마케팅 디렉터인 헬렌 프리스(Helen Frith)가 함께 자리했다.  

시음회에 앞서 옐랜즈의 한국 런칭을 축하하며, 이 와인들이 한국의 와인애호가들에게 많은 사랑을 받아 한국 와인 시장에서 새로운 이슈가 되길 바라는 인사말이 이어졌다. 특히 얼마 전 새로 부임한 패트릭 라타 뉴질랜드 대사는 “2000년에만 해도 한국에 진출한 뉴질랜드 와이너리는 단 한군데뿐이었지만 지금은 50여 개 와이너리가 소개되고 있다며 한국 시장에서 뉴질랜드 와인이 괄목할만한 성장을 이루고 있음을 강조했다.

사실, 한국 시장에서뿐 아니라 뉴질랜드 와인의 역사 자체가 그렇기도 하다. 와인생산국들 중에서 상대적으로 짧은 역사를 가지고 있지만 빠른 시간 내에 급격한 성장을 이뤘으니 말이다. 그 중에서도 옐랜즈는 2008년 설립 후, 불과 몇 년 사이에 뉴질랜드에서 세 번째로 큰 규모로 성장한 놀라운 와이너리다.  

옐랜즈가 실천해온 친환경이라는 가치

뉴질랜드 말보로(Marlborough)와 센트럴 오타고(Central Otago) 지역에서 생산하는 옐랜즈 와인의 남다른 점은 바로 철저하게 친환경 와인이라는 점이다. 옐랜즈의 오너이자 CEO인 피터 옐랜즈(Peter Yealands)는 환경 보호를 실천하는 것으로 유명하다. 유기농법을 적극적으로 도입해 제초제 사용을 최소화하며, 탄소 배출량을 줄이기 위해 태양열과 풍력을 활용한다. 또 베이비 돌(baby doll)이라 불리는 양들을 포도밭에서 뛰어 놀도록 해 잡초 제거에서도 연료의 사용을 줄이고 있다. 이러한 노력으로 옐랜즈는 전세계에 단 12곳밖에 없는 탄소 제로(Carbon Zero) 인증 와이너리 중 하나가 되었다.

또 한가지 옐랜즈 와인에서 빼놓을 수 없는 것은 지속적으로 높은 평가를 받고 있는 품질이다. 이번에 한국에 소개되는 와인 중에서는 옐랜즈 에스테이트 말보로 피노누아(Yealands Estate Marlborough Pinot Noir) 2010년 와인 스펙테이터(Wine Spectator)에서 100대 와인으로 선정된 바 있다.

친환경 와인이라는 명성과 품질에 대한 높은 평가만으로도 옐랜즈의 한국 런칭은 충분히 주목할만하다. 뉴질랜드 와인의 대표주자가 되고자 하는 포부로 한국에 첫걸음을 내디딘 옐랜즈 와인들은 순조로운 출발을 한 것으로 보인다. 와인애호가 입장에서는 봄날에 자연스레 떠올릴만한 소비뇽블랑과 피노누아의 리스트가 추가된 셈이다.

 

<한국에 소개된 옐랜즈의 네 가지 와인>

옐랜즈 웨이 소비뇽블랑(Yealands Way Sauvignon Blanc)

말보로 지역의 아와테어 밸리(Awatere Valley)에서 수확된 포도로 만들어진 와인. 가볍고 경쾌한 산미가 인상적이며 새우, 조개류 등 해산물 요리와 잘 어울린다. 식전주로 식욕을 자극하기에 좋은 와인이다.

 

옐랜즈 웨이 말보로 피노누아(Yealands Way Marlborough Pinot Noir)

말보로와 센트랄 오타고 지역에서 수확된 포도로 만들어졌으며 잘 익은 체리와 자두 등 풍부한 과실 아로마를 느낄 수 있다. 다양한 치즈와 어울리며, 전이나 불고기 등 한식과의 매칭도 연상된다.

 

옐랜즈 에스테이트 소비뇽블랑(Yealands Estate Sauvignon Blanc)

상큼한 뉴질랜드 소비뇽블랑의 전형성을 보여주면서도 미네랄 느낌이 긴 여운을 남긴다. 옐랜즈 웨이 소비뇽블랑보다 복합적인 풍미를 느낄 수 있고 풀 향기과 열대과일의 향이 조화롭다.

 

옐랜즈 에스테이트 피노누아(Yealands Marlborough Pinot Noir)

2010년 와인 스펙테이터 100대 와인 중 45위를 차지한 주인공이다. 부드러운 타닌과 쌉싸래한 끝맛이 매력적인 와인. 강하지 않으면서도 섬세한 풍미로, 이날 시음회에서도 가장 좋은 반응을 얻었다.

  

글_ 안미영

사진제공_ 트윈와인

* 와인21닷컴에 보도된 기사입니다.

Posted by Miyoung Ah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