론 와인의 기준이 되기 위하여
 - 이 기갈의 오너, 필립 기갈(Philippe Guigal)과의 만남

 

론 와인을 이야기할 때 가장 먼저 떠오르는 이름이 있다. 이것은 하나의 자연스러운 연상작용과도 같다. 명실공히 론 와인의 대표주자로 손꼽히는 이 기갈(E. Guigal). 한 와이너리와 특정 지역이 이토록 쉽게 연결되는 이유는 여러 와인을 통해 쌓아온 두터운 신뢰감 덕분일 것이다. 프랑스 론의 앙퓌(Ampuis) 지역에 위치한 가족 소유 와이너리 이 기갈의 역사는 1946년 에띠엔 기갈(Etienne Guigal)이 포도원을 설립하면서부터 시작된다. 이후 마르셀 기갈(Marcel Guigal)과 필립 기갈(Philippe Guigal)까지 3대에 걸쳐 대를 이어 내려오면서 론 전체에서 가장 성공적인 와이너리로 우뚝 섰다. ‘라라라’ 시리즈로 불리는 라 물린(La Mouline), 라 투르크(La Turque), 라 랑돈(La Landonne)은 이 기갈이 부흥을 일으킨 꼬뜨 로띠(Cote-Rotie) 지역의 상징과도 같다.
이 기갈은 와인 평론가 로버트 파커(Robert Parker)가 극찬한 와인 생산자이자, 그로부터 100점 만점을 가장 많이 받은 와이너리로도 유명하다. 그런데 사실, 이 기갈을 극찬하는 이는 파커 뿐만이 아니다. 와인애호가들 사이에서도 이 기갈은 그 이름만 믿고 선택해도 언제나 만족스러운 와인이라는 평을 얻고 있다. 이러한 명성은 어디에서 비롯된 것일까. 얼마 전 한국을 방문한 이 기갈의 현재 대표, 필립 기갈을 만난 자리에서 그 명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에게 지금까지 이 기갈이 간직해온 철학에 대해 들어보았다.   

인터뷰에 앞서 진행된 시음 행사에서 필립 기갈은 명확한 프레젠테이션을 통해 풍부한 정보를 전달하며 한국의 와인업계 관계자들과 최대한 세심하고 깊이 있는 소통을 하려 했다. 자신이 생산하고 있는 와인을 소개하기 이전에 론 와인의 전반적인 현황에 대해 언급하며 폭넓은 이야기를 이어갔다. 그의 말에는 와인의 품질에 대한 확신, 그럼에도 현재 위치에 대해 갖추고 있는 겸손한 자세, 그리고 인간적인 유머까지 묻어났다.
그는 론 지역의 강점과 최근의 성장세를 중요하게 언급했다. “한국에서도 보르도 다음으로 많이 소비되고 있는 프랑스 와인이 론 와인입니다. 어느새 부르고뉴를 넘어섰어요. 론 지역의 매력은 무엇보다도 다양성에 있다고 봅니다. 넓은 생산지에서 북부론과 남부론의 지형적, 기후적 특징이 다른 만큼 뚜렷한 개성이 있는 와인이 생산되죠.” 론 지역은 공식적인 등급이 없고, 와인메이커에 따라 품질의 차이가 심하기 때문에 생산자가 누구인지가 중요하다. 이 기갈은 이미 론 지역 최고의 명성을 얻었지만, 필립 기갈은 아직 시작에 불과하다고 말한다. “사람들이 론 와인에 많은 관심을 갖기 시작한 것이 최근이라고 생각해요. 이 기갈의 와인이 96개국에 수출되고 있고 이미 많이 알려졌다고 하지만, 올해 처음으로 미얀마에 진출했죠. 이처럼 더 많은 곳에 우리의 와인을 알리려고 합니다.”
필립 기갈의 태도에는 단순히 이 기갈 와인만을 위한 노력이 아닌, 론 지역 대표주자로서의 책임 의식이 엿보였다. 사실 론 지역은 전통적으로 ‘레드의 산지’로 알려져 있을 만큼, 레드 와인의 생산량이 압도적으로 많고 화이트 와인의 생산량은 10퍼센트 미만에 불과하다. 하지만 이 기갈은 화이트 와인에도 많은 노력을 기울여 총 생산량의 25퍼센트를 화이트 와인으로 생산해 좋은 평을 얻고 있다. “북부론에서 화이트 와인이 생산되는 꽁드리유, 에르미타쥬, 생 조세프, 크로즈 에르미타쥬는 모두 우리가 와인을 생산하고 있는 지역이죠. 남부론에서도 더욱 활발하게 화이트 와인 생산을 확대하고 있어요. 이 지역의 전문가로서 레드뿐 아니라 화이트 와인에서도 최고의 와인을 만들어내는 것이 목표입니다.”
그는 좋은 와인이란 ‘hard working’에서 비롯되는 것이라고 말했다. 간단한 표현이었지만 와이너리를 설립하고 총 67회의 포도 수확을 했던 에띠엔 기갈, 1995년 샤토 앙퓌를 매입해 꼬뜨 로띠의 새로운 역사를 쓴 마르셀 기갈, 그리고 현재 자신에 이르기까지 자신의 가족들이 포도밭에 투자한 엄청난 시간을 함축적으로 담고 있는 말이었다. 물론 세대가 바뀌면서 달라지는 것도 있겠지만 그들의 전통과 철학은 변함이 없다고 한다. “대를 이어 내려오며 점점 발전을 해나가되, 품질을 향한 한가지 전통을 고수하고 있습니다. 할아버지와 아버지가 비슷한 미각을 가지고 있었고, 아버지와 저의 미각도 마찬가지에요. 우리 와이너리는 세대 사이에 갈등이 없고 가치관 또한 매우 잘 통하는 편입니다.” 이 기갈은 포도 수확을 수작업으로 진행하고 포도밭의 관리도 유기농에 가깝게 하고 있지만, 유기농에 포커스를 맞춘 홍보를 하고 있지는 않다. 그들의 뚜렷한 철학은 첫 번째가 품질이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필립 기갈이 생각하는 이 기갈의 미래는 어떨까. 그는 론 지역의 각 AOC에서 기준이 되는 와인을 생산하고 싶다는 이야기를 했다. 꼬뜨 뒤 론부터 꼬뜨 로띠까지 다양한 와인을 생산하고 있다는 자부심도 있고, 그만큼 소비자들이 이 기갈의 와인을 통해 론 와인을 알아갈 수 있길 바란다는 것. 그래서 이 기갈은 꼬뜨 로띠 단일 포도원에서 항상 훌륭한 품질을 보여주는 ‘라라라’ 시리즈뿐만 아니라, 꼬뜨 뒤 론 와인을 일관되게 좋은 품질로 유지하는 것에 많은 공을 들이고 있다. 가장 많은 관심과 노력이 들어가는 와인이 바로 가장 대중적인 와인인 꼬뜨 뒤 론인 셈이다.    
필립 기갈의 말 속에는, ‘명품’이란 단어가 남발되고 있는 요즘 같은 때에 무엇이 진정한 명품 와인인가에 대해 다시 생각해보게 하는 힘이 담겨있었다. 그는 와인을 ‘공유’하는 것이라 표현했다. 우리가 하는 가장 큰 실수가 바로 좋은 와인을 혼자 마시는 것이라고. 사람들과 공유하며 기쁨을 나누게 해주는 존재가 바로 와인이라는 것은 그가 지켜가고 있는 또 하나의 가치였다.

 

글_ 안미영

사진_ 신동와인

 

* 와인21닷컴에 보도된 기사입니다.

 

Posted by Miyoung Ahn
,

아브루쪼의 대자연이 빚은 와인, 마라미에로

 

이탈리아 와인이라면 일반적으로 토스카나(Toscana)와 피에몬테(Piemonte)를 가장 먼저 떠올리게 마련. 그런데 최근에는 이탈리아의 와인 산지 중에서도 중동부 지역에 대한 관심이 점차 높아지고 있는 중이다. 지난 2월 개최된 중앙와인학술축제에서도 이런 관심을 반영해 중동부 지역의 와인 생산지와 토착 품종에 대한 학술발표가 있었고, 이 지역의 뛰어난 미래 가치에 주목했다. 다른 유명 와인산지에 비해 다소 소외된 느낌이 있었던 중동부 지역의 가치는 지리적 위치와 자연 환경에서 찾아볼 수 있다. 아펜니노(Appennino) 산맥 동편 구릉지대와 해안가에 펼쳐진 이탈리아 중동부 지역은 아브루쪼(Abruzzo), 마르케(Marche), 몰리세(Molise) 등의 산지에서 개성 있는 와인을 생산하고 있으며각종 농산물로도 유명하다.

 

지난 5 17, JW메리어트 호텔에서 아브루쪼에 위치한 마라미에로(Marramiero)의 와인을 만날 수 있는 디너가 개최되었다. 마라미에로 와이너리를 대표하는 6가지 와인들을 시음하는 자리였으며, 이번 행사를 위해 한국을 방문한 수출담당이사 지오바니 끼아바롤리(Giovanni Chiavaroli)가 참석해 마라미에로 와인의 특징을 소개했다. 그가 강조한 것은 무엇보다도 지리적, 기후적 강점이었다. 마라미에로는 페스카라(Pescara)의 해변에서 멀지 않은 곳에 위치해 바닷바람의 영향을 받으며, 해발 3천 미터에 이르는 웅장한 산들에 둘러싸여 있어 좋은 와인을 생산할 수 있는 최적의 조건을 갖추고 있다. 오래된 포도밭이나 눈 쌓인 돌산 등의 특수한 환경이 포도에 개성을 부여한다는 점이 흥미롭다. 이 지역에서 생산되는 몬테풀치아노(Montepulciano)나 트레비아노(Trebbiano) 등의 포도가 고유의 특징적인 풍미를 가지는 이유 역시 아브루쪼의 자연 환경에서 비롯된 것이다.

 

와이너리의 설립자 단테 마라미에로(Dante Marramiero) 1990년대 초 와이너리를 설립한 뒤 얼마 지나지 않아 세상을 떠났고, 현재는 그의 아들 엔리코 마라미에로(Enrico Marramiero)와 공동창업자인 안토니오 끼아바롤리(Antonio Chiavaroli)가 와이너리를 경영하고 있다. 마라미에로가 소유한 75헥타르의 포도밭에서는 몬테풀치아노, 트레비아노, 페코리노, 피노네로, 샤르도네 등 총 5가지 품종이 재배된다. 대규모 와이너리는 아니지만 뛰어난 품질을 인정받아 현재는 생산량의 절반 이상을 수출하고 있다. 

 

이번 디너에서는 이미 잘 알려진 와인부터 아직 국내에 수입되고 있지 않는 와인까지 총 6종류가 소개되었고, JW메리어트 호텔 올리보 레스토랑의 음식과도 좋은 매치를 이루었다. 또한 무엇보다도 아브루쪼 지역에서 생산되는 토착 포도 품종의 특성을 제대로 경험해볼 수 있었으며, 앞으로 이 지역의 발전 가능성에 대해 더 큰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 

 

아브루쪼의 특징을 고스란히 담아낸 6가지 마라미에로 와인을 소개한다.

 

 

마라미에로 브룻 스푸만테(Marramiero Brut Spumante)

부드러운 기포가 인상적인 마라미에로 브룻 스푸만테는 기분 좋은 청량감을 주며, 식전주로 즐기기에도 적당한 와인이다. 전통 샴페인 방식으로 생산된 스푸만테로 36개월 동안 병 숙성을 거친 뒤 출시된다.

 

페코리노 수페리오레(Pecorino Superiore 2011)

작년 인터내셔날 와인 챌린지(International Wine Challenge)에서 은상을 수상한 와인으로, 아브루쪼에서 생산되는 이탈리아 토착 품종 페코리노의 독특한 풍미를 느낄 수 있다. 그동안 한국에서 쉽게 접할 수 없었던 페코리노 품종은 양을 가리키는 이탈리아어 페코라(pecora)에서 그 이름이 유래했고, 양유로 만든 치즈의 이름이기도 하다. 망고와 메론 향을 포함해 가볍고 달콤한 향으로 여성적인 느낌이 강하며, 기분 좋은 산미와 긴 여운을 남긴다. 함께 서빙된 부라타 치즈의 크리미한 질감과도 훌륭한 조화를 이루었다. 

 

푼타 디 꼴레 샤르도네(Punta Di Colle Chardonnay 2008)

언덕에서 가장 높은 곳이란 뜻의푼타 디 꼴레는 마라미에로의 샤르도네가 재배되는 지역을 의미한다. 이 와인은 손수확한 샤르도네를 18개월간 오크 숙성시키고 24개월간 병숙성을 한 뒤 출시한다. 옅은 황금빛을 띠는 페코리노 수페리오레에 비해 푼타 디 꼴레 샤르도네는 보다 짙은 황금빛을 띠며, 컬러와 마찬가지로 진한 시트러스 향에 다소 스파이시한 느낌을 준다. 오크 숙성으로 인한 바닐라향도 우아하다. 트러플 오일이 가미된 파프리카 스프가 함께 서빙되었는데, 샤르도네와 좋은 마리아주를 보여주었다.

 

인칸토 몬테풀치아노 다브루쪼(Incanto Montepulciano d'Abruzzo 2009)

해질 무렵 포도 농장의 한 장면이 그려진 레이블은 마라미에로 포도밭의 아름다운 풍광을 담은 것이라고 한다. 아브루쪼의 페스카라 언덕에서 재배되는 몬테풀치아노는 강건하면서도 밸런스가 좋다는 평을 얻고 있다. 오크 숙성을 하지 않아, 화려한 과실향이 생생하게 피어오르는 인칸토 몬테풀치아노 다브루쪼는 2011년 인터내셔날 와인 챌린지에서 금메달을 수상한 와인이다.

 

인페리 몬테풀치아노 다브루쪼(Inferi Montepulciano d'Abruzzo 2007)

명실공히 마라미에로의 아이콘 와인이며, ‘몬테풀치아노의 걸작으로 손꼽힌다. 인칸토 몬테풀치아노 다브루쪼와는 달리, 인페리 몬테풀치아노 다브루쪼는 18개월 간의 오크 숙성을 통해 보다 진하고 농후한 맛을 낸다. 다양한 수상 기록이 많은데 특히 2010년 코리아 와인 챌린지(Korea Wine Challenge)에서는 이탈리아 와인 중 최고상을 수상하며, 한국인의 입맛에 가장 잘 맞는 와인으로 인정받았다.

 

단테 마라미에로 아쿠아비테(Dante Marramiero Aquavite)

이탈리아 최고의 그라빠 양조자 중 한 명인 카를로 고베띠(Carlo Gobetti)의 양조 기술로 탄생했으며, 와이너리의 설립자 단테 마라미에로를 기리기 위해 만든 와인이다. 맑고 투명한 컬러에 63.8%의 알코올로 인해 강렬한 첫인상을 주지만, 높은 알코올을 느끼기 이전에 응축된 몬테풀치아노의 향이 우선적으로 다가오는 매력적인 와인이다.

 

글_ 안미영

 

* 와인21닷컴에 보도된 기사입니다.

 

 

Posted by Miyoung Ahn
,

메종 에브라, 단순함 속에 깊이를 담다

 

쉽고 편하게 즐길 수 있는 보르도 와인
프랑스 와인은 전통과 품질에 대한 신뢰감만큼이나 어렵다는 인식이 따라다닌다. 특히 와인을 처음 마시기 시작한 이들이라면, 우선 복잡한 레이블에서부터 선뜻 접근하기가 쉽지 않고 지역과 등급 구분에 대한 부담감도 적지 않다. 물론 알수록 즐거워지는 것이 와인의 세계지만, 보다 접근성이 뛰어난 와인이 되기 위해서는 쉽고 친근한 첫인상도 필요하다. 그런 면에서 소비자들이 쉽게 마실 수 있는 와인을 만들고자 하는 메종 에브라(Maison Hebrard)의 노력은 주목할만하다. 와이너리가 추구하는 철학을 고수하면서도 보르도 와인의 복잡다단한 세계를 명확하고 단순하게 표현해내고 있기 때문이다.
메종 에브라는 오랜 기간 소비자들의 기대와 입맛을 분석한 끝에 보르도 시리즈를 탄생시켰다. 이들은 와인을 만들면서 함축적이고 핵심적인 부분을 간단하게 표현하기 위해 고심한 듯하다. 첫인상을 결정 짓는 레이블에는 빼곡한 그림이나 문구 대신, 각 와인의 등급에 따라 다른 문양을 삽입한 엠블렘을 전면에 내세워 심플한 인상을 준다. 이는 현재 메종 에브라가 소비자들에게 어떻게 다가가고자 하는지를 보여주는 한가지 예이다.
그렇다면 메종 에브라의 역사는 언제부터 시작된 것일까. 에브라 가문이 와인을 만들기 시작한 시점부터 살펴보면, 시기는 1832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당시 생떼밀리옹(Saint-Emilion)의 1등급 샤토인 샤토 슈발 블랑(Chateau Cheval Blanc)을 구입하면서부터 양조 기술을 축적해나가기 시작했고 이후 150년이 넘는 시간 동안 보르도 가론(Garonne)강 우안 지역에서 확고한 명성을 쌓아왔다. 현재까지 8대를 이어오며 와이너리를 경영해온 에브라 가문은 1983년 생떼밀리옹에 메종 에브라를 설립했고, 이 프로젝트를 진행한 주인공은 바로 와인메이커이자 경영자인 도미니크 에브라(Dominique Hebrard)였다.

 

샤토 슈발 블랑의 명성을 이어온 와인메이커
지난 4월 18일 저녁, 도미니크 에브라와 함께하는 와인메이커스디너가 개최되었다. 생떼밀리옹에서 태어나고 자란 도미니크 에브라는 샤토 슈발 블랑의 양조자로 활약했고, 1998년 LVMH 그룹에 와이너리를 매각할 때까지 샤토 슈발 블랑의 공동 소유주이기도 했다. 와인메이커로서뿐만 아니라 경영자로서의 추진력도 발휘해왔는데 현재 그가 공동 소유주로 있는 샤토 벨퐁-벨시에(Chateau Bellefont-belcier)는 2006년 생떼밀리옹 그랑 크뤼 클라세를 받았고, 2000년 구입한 샤토 트리아농(Chateau Trianon)은 작은 규모지만 그의 투자로 인해 매출량과 브랜드 이미지가 크게 향상되었다.
와인메이커스디너에서 도미니크 에브라가 소개한 메종 에브라 보르도 시리즈 6가지 와인은 와인메이커가 담아내고자 한 철학을 느끼기에 부족함이 없었다. 그런데 이날 행사가 더욱 의미 있는 자리가 된 것은 도미니크 에브라의 경력에서 빼놓을 수 없는 와인, 샤토 슈발 블랑 1995년 빈티지가 함께 등장했기 때문이었다. 도미니크 에브라는 1990년 아버지 자크 에브라(Jacques Hebrard)가 은퇴한 뒤 1991년부터 직접 샤토 슈발 블랑의 와인 양조를 담당했으며, 1995년 빈티지는 그가 양조를 맡은 이후 최고의 빈티지로 꼽는다. 그는 당시 포도를 수확한 날짜까지 정확하게 기억하고 있었고 “설사 기후가 좋지 않더라도 떼루아 자체가 와인에 깊이를 더해줄 것”이라고 했던 아버지의 말씀을 언급하며 떼루아의 표현력을 강조했다.
땅에 대한 믿음과 대를 이어 쌓아온 기술력은 메종 에브라 와인에까지 이어졌다. 메종 에브라 보르도 시리즈를 만나는 것은 단순히 눈앞에 놓인 6가지 와인을 시음하는 것이 아니라 보르도의 떼루아와 개성을 느껴보는 시간이 되었다. 와인메이커의 경력과 철학을 설명해주는 역사적인 와인을 함께 시음하며, 그가 걸어온 길을 이해한 덕분이었다.

 

심플함 속에 담긴 철학
와인을 시음하는 동안, 도미니크 에브라가 여러 번 반복한 표현은 “다가가기 쉽고, 즐기기 쉽게”라는 것이었다. 그의 말대로 메종 에브라는 편안하고 즐겁게 보르도로 안내하는 와인이다. 심플함을 추구하면서도 품질에 대한 욕심을 지키며, 대량생산을 하지 않는다. 각 아뻴라시옹의 개성을 반영하고 각 포도품종의 특성을 담아내며 충실하게 보르도의 전형성을 표현했다.

 

메종 에브라 보르도 블랑 2010 (Maison Hebrard Bordeaux Blanc 2010)
가론강과 도르도뉴강 사이에 위치한 앙트르 두 메르(Entre-deux-Mers) 지역의 화이트 와인. 60%의 소비뇽 블랑와 40%의 세미용을 블렌딩했으며 소비뇽 블랑 고유의 정체성을 지키기 위해 오크를 사용하지 않았다. 밝은 골드 컬러에 열대과일의 발랄한 산미가 생생하게 느껴지는 와인이다.

 

메종 에브라 보르도 루즈 2010 (Maison Hebrard Bordeaux Rouge 2010)
도미니크 에브라는 이 와인을 소개하며 “깊이 생각할 필요가 없는 와인”이라고 표현했다. 그의 말대로 보르도 루즈는 복잡하지 않고 타닌도 강하지 않기 때문에 부드럽고 편안하게 다가온다. 오크 숙성을 하지 않았고 메를로 70%와 까베르네 소비뇽 30%를 블렌딩했으며, 신선한 산미와 깔끔한 피니쉬가 인상적이다.

 

메종 에브라 꼬뜨 드 보르도 프리미엄 2009 (Maison Hebrard Cotes de Bordeaux Premium 2009)
2009년 이후로 보르도 우안 지역의 4개 AOC가 하나로 통합되었는데 그것을 ‘꼬뜨 드 보르도’라고 한다. 진흙과 석회질 토양에서 생산된 포도로 만들어졌으며, 보르도 루즈보다 복합적이고 풍부한 과실 향을 느낄 수 있다. 60% 메를로와 40%의 까베르네 소비뇽이 블렌딩 되었다.

 

메종 에브라 메독 2009 (Maison Hebrard Medoc 2009)
메종 에브라가 추구하는 바대로 쉽게 즐길 수 있으면서도, 5~10년 정도 보관이 가능할 만큼 잠재력을 지닌 와인으로 소개되었다. 메독 북부 지역의 떼루아에서 생산되며, 12~18개월 간 오크 숙성을 해 과실 향과 바닐라의 풍미가 조화롭다. 메를로와 까베르네 소비뇽이 절반씩 블렌딩 된 와인이다.

 

메종 에브라 샤토 랑동 메독 2009 (Maison Hebrard Chateau Landon Medoc 2009)
까베르네 소비뇽 70%, 메를로 25%에 말벡 5%가 블렌딩 되었으며, 공기에 노출된 뒤의 변화를 즐길 수 있는 와인이므로 1~2시간의 디캔팅이 필요하다. 15~18개월의 오크 숙성을 통한 은은한 바닐라 풍미와 농익은 과실향이 우아하게 다가오고, 스파이시한 피니쉬가 매력적인 여운을 남긴다.

 

메종 에브라 샤토 하모니 생떼밀리옹 그랑 크뤼 2009 (Maison Hebrard Chateau Harmonie Saint Emilion Grand Cru 2009)
생떼밀리옹 북쪽에 위치한 포도원의 와인으로, 약 4헥타르 규모의 포도밭에서 생산된다. 메를로 60%, 까베르네 프랑 25%, 까베르네 소비뇽 15%을 블렌딩했고 손 수확된 포도로 한정 생산하는 메종 에브라의 최고 와인이다. 아직 젊지만 탄탄한 미감 속에 깊은 풍미가 느껴지고, 제대로 즐기기 위해서는 반드시 3시간 정도의 디캔팅을 한 뒤 마시길 권한다.
  
글_ 안미영

 

* 와인21닷컴에 보도된 기사입니다.

 

Posted by Miyoung Ah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