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니스킬린(Inniskillin)_ 인내가 선물해준 달콤함

 

강인하게 오랜 시간을 버티고 나면 비로소 달콤한 순간이 찾아온다는 이치를 아이스와인에 적용해볼 수 있겠다. 한겨울 언 포도로 만드는 아이스와인이 주는 풍부하고도 오묘한 단맛의 느낌은 잘 감내해온 시간의 중요성을 말해주는 것 같다. 그것은 포도에만 해당되는 것이 아니다. 포도 수확 시기를 기다리고 당도를 보호해 마침내 뛰어난 퀄리티의 와인을 생산해내는 양조자에게도 해당되는 이야기다. 그래서 인내의 과정 끝에 탄생한 와인에는 쉽게 판단하기 어려운 고귀함이 느껴진다.


 

최근 신동와인은 캐나다 아이스와인 이니스킬린(Inniskillin)을 리론칭했다. 2010년 수입을 중단한 이후 3년만에 다시 한국 시장에 들어온 것. 그런데 지난 3년 동안 이니스킬린을 한국의 와인 매장에서 만날 수 없었다 해도, 그 이름은 소비자들에게 매우 익숙하게 자리잡고 있다. 바로 전세계 면세점에서 모든 와인을 통틀어 판매량 1위를 자랑하는 주인공이기 때문. 그 정도로 이니스킬린은 고급스러운 선물로도 인기 있는 와인이다.


이니스킬린에 대한 자세한 이야기를 하기 위해서는 먼저 아이스와인에 대한 이야기를 해야 한다. 아이스와인은 포도가 꽁꽁 얼면서 농축물이 더욱 응집되고 수분은 얼음으로 분리되어 나온 상태에서 생산된다. 포도 송이 하나에서 단 몇 방울만의 농축된 과즙을 얻을 수 있기 때문에 일반 와인에 비해 10배 정도 많은 양의 포도가 필요하며, 그만큼 깊이 있고 풍부한 당도가 형성되는 것이다. 기후 조건도 매우 까다로운데 여름에는 덥고 겨울에는 평균 기온이 영하 8도를 유지해야 하며, 수확 과정에서 기온이 오를 경우 그 맛이 변해버리기 때문에 새벽에 수확해 얼어있는 상태에서 압착한다.


 

인공적으로 냉동시킨 포도로 아이스와인을 만드는 방법도 있지만, 캐나다와 독일, 오스트리아에서는 자연적인 방법으로 생산된 아이스와인만을 공식적인 아이스와인으로 인정한다. 특히 캐나다에서는 영하 8도 이하에서 수확한 포도만으로 만든 아이스와인에 한해 품질인증마크 ‘VQA(Vintners Quality Alliance)’를 주고 있다. 독일에 강추위가 몰려온 해에 우연히 생산하게 된 아이스와인은 독일이 시초였기 때문에 ‘아이스바인(Eiswein)’으로 알려지기 시작했고, 현재는 캐나다가 세계 최대 아이스와인 생산국으로 자리매김 하고 있다. 그리고 캐나다 아이스와인을 국제적인 위치에 올려놓으며 전세계 아이스와인의 선구자적 역할을 하고 있는 와인이 바로 이니스킬린이다.


세계 최대 와인 기업인 컨스텔레이션 브랜즈(Constellation Brands)사에 소속된 이니스킬린은 캐나다 온타리오(Ontario)주 나이아가라 강변에 위치하고 있다. 1991년 빈엑스포(Vinexpo)에서 이니스킬린 비달 아이스와인(Inniskillin Vidal Icewine 1989)이 대상에 해당하는 그랑프리를 받았고, 이후로도 매해 높은 평가를 얻으며 명성을 입증해왔다.


한국 리론칭을 기념해 방한한 컨스텔레이션 그룹의 아시아 지역 디렉터 조 밀너(Joe Milner) 씨는 이니스킬린을 일반적인 디저트 와인과 구분해서 생각해야 한다고 말한다. 우선, 맛에서 느낄 수 있는 가장 큰 차이는 아이스와인의 경우 단순히 당도만 높은 것이 아니라 적당한 산도를 함께 갖추고 있기 때문에 음식과 매칭하기에도 좋다는 점이다. 또한 그는 영하 10도일 때 언 포도를 수확해 만드는 이니스킬린 아이스와인은 까다로운 생산 과정과 생산량에서 다른 와인들과 차별화된다고 소개한다. 위스키에서 싱글 몰트 위스키를 구분하듯이, 아이스와인 또한 일반적인 와인과는 다른 럭셔리한 개념이라는 것이다.

이번에 출시된 제품은 이니스킬린 골드 비달(Inniskillin Gold Vidal)과 이니스킬린 리슬링(Inniskillin Riesling) 두 가지다. 2년간 프렌치 오크에서 숙성한 이니스킬린 골드 비달은 당도 높은 과일향이 오크 숙성에서 오는 바닐라향과 어우러지는 부드러운 느낌이며, 이니스킬린 리슬링은 달콤하면서도 적당한 바디감과 높은 산도가 느껴지는 와인이다. 물론 그 자체로 디저트 삼아 마셔도 좋고, 달콤한 케이크나 아이스크림, 과일 등의 디저트와 함께 해도 훌륭한 궁합을 보여준다. 오픈 후 3주 정도까지 신선함을 유지한다는 점은 아이스와인의 또다른 매력. 리론칭으로 이제 백화점과 와인숍에서 다시 만나게 된 이니스킬린을 통해 더욱 다양한 방식으로 아이스와인을 즐겨볼 수 있겠다.


글_ 안미영      

사진제공_ 신동와인 

 

* 와인21닷컴에 보도된 기사입니다.

 

Posted by Miyoung Ahn
,

아름다운 유사성

- 로버트 몬다비 버티컬 테이스팅

 

캘리포니아 와인의 혁명가, 캘리포니아 와인의 거장, 나파 밸리(Napa Valley)의 황제. 로버트 몬다비 와이너리(Robert Mondavi Winery)를 설립한 고(故) 로버트 몬다비를 수식하는 말들이다. 1966년 설립된 로버트 몬다비 와이너리의 비전은 나파 밸리에서도 전세계 최고급 와인에 견줄만한 와인을 생산하겠다는 것이었다. 현재 나파 밸리에 위치한 450여 개의 와이너리에서는 세계적으로 좋은 평가를 받는 와인을 생산하고 있지만, 1960년대 그곳에는 대부분 저렴한 와인들을 생산하는 단 20여 개의 와이너리만이 존재했다. 로버트 몬다비 와이너리는 그런 환경에서 고품질 와인 생산을 이끌며 캘리포니아 와인의 한 시대를 개척했다. 반 세기가 채 되지 않는 시간 동안 이룬 성취와 그로 인해 나파 밸리가 전세계 와인 지도에 이름을 올릴 수 있었다는 점을 상기해본다면 앞서 말한 로버트 몬다비의 수식어는 결코 과한 표현이 아니다. 설립자 로버트 몬다비는 지난 2008년, 95세의 나이로 작고했지만 현재 로버트 몬다비 와이너리는 미국 캘리포니아 와인의 혁신적인 이미지를 간직한 채 뛰어난 와인 생산에 주력하고 있다.

 


마스터 오브 와인, 마크 드 베레(Mark de Vere)와의 만남
얼마 전, 로버트 몬다비 와이너리의 와인 교육 디렉터이자 마스터 오브 와인(Master of Wine)인 마크 드 베레(Mark de Vere) 씨가 한국을 방문했다. 1997년 마스터 오브 와인 자격을 취득한 그는 미국의 24명 마스터 중 한 사람으로서 북미 와인 교육 디렉터를 맡고 있으며 국제적인 와인 심사에도 참여하고 있다. 이번 방한에서 그는 와인 클래스, 한식 매칭 디너 등의 행사에 참석하며 한국 시장에 로버트 몬다비 와인을 보다 다양하고 적극적인 방식으로 소개했다. 그리고 지난 12월 5일 개최된 버티컬 테이스팅(Vertical Tasting)에서는 로버트 몬다비 까베르네 소비뇽 리저브(Robert Mondavi Cabernet Sauvignon Reserve)를 집중적으로 시음하고 비교해보는 시간을 가졌다. 마크 드 베레 씨는 “나파 밸리의 상징과도 같은 포도를 꼽자면 단연 까베르네 소비뇽이다. 특히 로버트 몬다비 까베르네 소비뇽 리저브는 가장 좋은 포도밭에서 생산되는 최고의 포도만을 선별해서 만드는 와인이다.”라는 말로 각별한 자부심을 표했다.


유럽의 경우, ‘리저브(Reserve)’라는 단어 사용에 법적인 규제가 있지만 캘리포니아에는 법적 규제가 없다. 하지만 로버트 몬다비 와이너리는 이 단어를 사용하기 시작한 1971년부터 지금까지 최고급 와인에만 사용하면서 리저브 와인에 대한 확고한 신뢰감을 쌓아왔다. 마크 드 베레 씨는 로버트 몬다비 까베르네 소비뇽 리저브가 “뛰어난 빈야드의 특징을 잘 살린 와인”이라는 말을 더했다. 좋은 땅에서 자란 포도가 가진 본연의 매력을 잘 살린 와인이 생산되며, 우아한 타닌이 특징이라는 설명이다.


표현과 취향의 차이, 버티컬 테이스팅
버티컬 테이스팅의 가장 큰 매력은 ‘유사성’을 발견하면서도 각기 다른 표현력을 즐기는 것 아닐지. 같은 와인이지만 다른 해에 탄생했다는 이유로 보여주는 ‘차이’를 확인하는 것은 매해 다른 자연환경과 와이너리의 양조스타일을 동시에 읽어볼 수 있는 방법이다. 마치 각 빈티지에 대한 상세한 가이드를 하듯 테이스팅을 진행한 마크 드 베레 씨의 의견 역시 그랬다. 물론 나파 밸리는 유럽에 비해 빈티지 간의 차이가 크지 않은 편이지만 일관성 속에서 존재하는 미묘한 차이가 각기 다른 느낌의 와인을 탄생시킨다. 그러므로 버티컬 테이스팅은 개인의 취향이 어떻게 반영되는지를 확인할 수 있는 흥미로운 시음이기도 하다.

4년에서 10년까지 숙성된 로버트 몬다비 까베르네 소비뇽 리저브 6종류를 시음해본 결과, 젊고 신선해서 매력적인 것과 세월이 흘러서 아름다운 것 사이에서 어느 것이 더 좋다는 판단은 무의미하다는 생각이 들었다. 다만 로버트 몬다비에서 생산해내는 최고의 와인이 가진 정체성과 각 와인이 보여주는 다양한 멋을 확인했다는 점이 큰 의미가 있었다.


Robert Mondavi Cabernet Sauvignon Reserve 2008
85% 까베르네 소비뇽, 8% 까베르네 프랑, 7% 쁘띠 베르도. 어리지만 풍부하고 화려한 풍미를 보여준다. 로버트 몬다비는 진하고 달기보다는 신선함을 간직한 레드 와인을 생산하는데, 이 와인 역시 허브 향 덕분에 강렬한 인상을 주면서도 동시에 신선한 느낌으로 다가온다. 풍부한 과일 향과 함께 산도를 유지하고 있어 밝은 인상이다.


Robert Mondavi Cabernet Sauvignon Reserve 2007
90% 까베르네 소비뇽, 7% 까베르네 프랑, 3% 쁘띠 베르도. 카시스, 블랙베리, 블랙올리브의 향이 느껴지는 와인. 2008년 빈티지와 마찬가지로 산도가 살아있지만 확연히 두드러지는 타닌이 특징이다. 까베르네 소비뇽에 블렌딩을 한다면 일반적으로 메를로를 생각하기 쉽지만, 로버트 몬다비에서는 2002년 단 한번 메를로를 블렌딩을 했고 대부분 까베르네 프랑과 쁘띠 베르도를 블렌딩하고 있다. 2008년과 2007년 빈티지 역시 마찬가지. 까베르네 프랑이 우아하고 섬세한 느낌을 준다면 쁘띠 베르도는 진한 과일 맛을 더해준다.


Robert Mondavi Cabernet Sauvignon Reserve 2006
95% 까베르네 소비뇽, 5% 까베르네 프랑. 2008년이나 2007년보다 더 따스한 느낌을 간직한 빈티지다. 마크 드 베레 씨는 2006년 빈티지를 과일 맛과 타닌이 조화를 이룬 면에서 ‘가장 클래식한 나파 리저브’라고 표현했다. 라벤다, 카시스, 블랙베리의 향에 흙내음이 어우러지며 부드럽고 구조감이 뛰어난 와인이다.


Robert Mondavi Cabernet Sauvignon Reserve 2005
94% 까베르네 소비뇽, 6% 까베르네 프랑. 앞서 시음한 와인과 비교했을 때, 신선한 과일 풍미가 한층 숙성된 맛을 드러내는 것을 여실히 느낄 수 있는 빈티지다. 과일향과 산도가 잘 조화를 이루고 있으며, 과실 아로마에 연이어 느껴지는 타닌이 강하고 남성적이면서도 우아한 스타일을 갖췄다.


Robert Mondavi Cabernet Sauvignon Reserve 2004
86% 까베르네 소비뇽, 12% 까베르네 프랑, 2% 쁘띠 베르도. 검은 과실 풍미에 정향, 감초 등 향신료의 향이 깊고 풍부하게 전해지며 입안에 머무는 감칠맛이 굉장히 잘 숙성되었다는 느낌을 준다. 다른 빈티지에 비해 까베르네 프랑의 비율이 높아, 섬세하고 파워풀한 타닌이 이어지면서도 목 넘김이 상당히 부드럽다. 이날 버티컬 테이스팅에 등장한 모든 와인이 높은 로버트 파커 점수를 받았는데, 특히 2004년 빈티지는 2007년 와인스펙테이터 100대 와인 중 9위에 오르기도 했다.


Robert Mondavi Cabernet Sauvignon Reserve 2002
83% 까베르네 소비뇽, 7% 메를로, 6% 까베르네 프랑, 2% 쁘띠 베르도, 2% 말벡. 생생하면서도 풍부한 과실 풍미를 드러낸다. 마크 드 베레 씨는 현재 10년 동안 숙성된 2002년 빈티지가 앞으로도 10-20년 이상 장기 숙성이 가능하다고 말했다. 물론 각 와인의 최고 시음 적기를 말하는 일이란 언제나 쉽지 않으며, 현재도 충분히 즐기기 좋은 와인이지만 더 깊고 다양한 매력을 드러낼 숙성 잠재력을 간직하고 있다는 것이다.

 

글_ 안미영

 

* 와인21닷컴에 보도된 기사입니다.

Posted by Miyoung Ahn
,

 

 

실레니의 유연함과 만나다

 

잘 만든 뉴질랜드 와인을 접할 때면 몇 가지 특징적인 요소들이 먼저 떠오른다. 편하고 즐기기 쉬운 스타일, 개성 있고 우수한 소비뇽 블랑(Sauvignon Blanc)의 매력, 다양한 음식과의 매칭 등. 뉴질랜드는 신세계 와인생산국 중에서도 와인 생산을 가장 늦게 시작했지만 청정 자연환경과 더불어 이런 특징들 덕분에 짧은 시간 안에 급격한 성장을 이룰 수 있었다. 특히 한국에서도 잘 알려진 실레니(Sileni)는 뉴질랜드 와인의 강점이 집약된 와인이다.  
로마신화에서 와인의 신 바쿠스와 함께 등장하는 ‘Sileni’에서 이름을 따온 실레니는 뉴질랜드 말보로(Marlborough)와 혹스 베이(Hawke’s Bay)에 포도원을 소유하고 있는 가족 경영 와이너리다. 실레니가 소유한 포도밭은 자갈과 얇은 충적토로 이루어져 배수가 용이하고 오랫동안 열기를 지속시켜주며, 높은 일조량과 낮은 강수량으로 포도가 깊고 응축된 풍미를 가질 수 있는 환경을 갖췄다. 실레니는 이런 포도밭에 부합하는 좋은 포도를 생산하기 위해 연구를 거듭해왔고, 현재 프랑스, 캘리포니아에서 양조 경력을 쌓은 양조팀이 과학적이고 현대적인 방식으로 와인을 생산하고 있다. 그 결과 뉴질랜드 외에도 유럽과 북미, 아시아 지역 와인 경연 대회에서 많은 메달을 획득하며, 혹스 베이를 뉴질랜드 프리미엄 와인 생산지로 알리는 데 큰 역할을 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지난 11월 6일, 실레니의 오너인 그레엄 에이버리(Graeme Avery)의 아들이자, 와이너리의 총괄 매니저를 맡고 있는 나이젤 에이버리(Nigel Avery)와 함께 하는 시음회가 개최되었다. 실레니의 한국 수입사로서 이 행사를 주최한 에노테카코리아의 김진섭 사장은 “에노테카코리아가 설립될 때 가장 먼저 함께 하기로 한 브랜드가 바로 실레니”라며 브랜드 파워와 잠재력에 대해 언급했다. 실제로 일본에서는 뉴질랜드 와인 중 가장 큰 판매량을 자랑하며, 특히 소비뇽 블랑이 각별한 사랑을 받고 있다. 나이젤 에이버리는 이 자리에서 실레니가 추구하는 가치에 대해 “좋은 음식, 좋은 와인, 그리고 좋은 회사(great food, great wine & great company)”라는 말을 여러 차례 강조했다. 그리고 실제로 시음회는 그가 말한 세 가지 가치를 충분히 느끼며 ‘좋은 사람’까지 함께 하는 시간이 되었다.
실레니의 와인은 오래 숙성시키지 않고 쉽게 즐길 수 있는 셀라 셀렉션(Cellar Selection), 숙성 능력을 갖추고 있는 리저브 급의 에스테이트 셀렉션(Estate Selection), 최고 품질의 아이콘 와인인 익셉셔널 빈티지(Exceptional Vintage) 와인으로 나뉜다. 시음회에서 소개된 6가지 와인은 뚜렷한 개성을 간직하고 있으면서도 다양한 음식과 잘 어울리는 ‘유연성’을 보여주었다.

 

Sileni Cella Selection Rose 2009
카베르네 프랑으로 양조된 실레니의 로제 와인. 짙은 핑크 컬러에 고운 딸기 향이 풍성하게 올라온다. 싱그러운 봄날을 연상시킬 정도로 상큼한 와인. 젊고 발랄한 인상을 주지만 달콤한 향에 비해 미감은 드라이한 편이다.

 

Sileni Estate Selection ‘The Straits’ Sauvignon Blanc 2010
‘The Strait’는 소비뇽 블랑이 재배되는 뉴질랜드 북섬의 웰링턴(Wellington) 지역과 남섬의 말보로(Marlborough) 지역 사이에 위치한 쿡 해협(Cook Strait)로 인해 붙여진 이름. 시음을 해보면 역시 그 유명한 ‘실레니의 소비뇽 블랑’이란 생각을 하게 된다. 풋풋한 풀 냄새와 열대과일 향을 느낄 수 있고 기분 좋은 산도 덕분에 생기 넘치는 인상을 받는다.

 

Sileni Estate Selection ‘The Lodge’ Chardonnay 2010
오두막이나 산장을 뜻하는 ‘Lodge’는 샤르도네가 생산되는 포도밭에 게스트하우스가 자리잡고 있어서 붙여진 이름이다. 손 수확한 포도로 양조되며 전형적인 부르고뉴 샤르도네 방식대로 프렌치 오크에서 발효된다. 의외의 발견이라 할 정도로 이번 시음회에서 가장 당당한 매력을 했다. 잘 익은 과실 아로마에 오크 풍미가 우아하게 어우러져 상당히 밸런스가 좋은 와인이다.

 

Sileni Cella Selection Pinot Noir 2011
밝고 선명한 루비 컬러의 피노누아로, 베리류 아로마가 강렬하게 피어오르며 부드러운 타닌이 느껴진다. 나이젤 에이브리는 실레니의 레드 와인 중에서도 이 와인을 특별히 마시기 쉬운, 유연한 와인으로 소개했다. 

 

Sileni Estate Selection ‘The Triangle’ Merlot 2009
메를로가 재배되는 포도밭이 마치 실레니의 로고처럼 삼각형을 이루고 있기 때문에 ‘Triangle’이 붙었다. 잘 익은 자두, 베리류 아로마와 함께 부드러운 초컬릿 향이 섬세한 여운을 남기는 와인이다.

 

Sileni Exceptional Vintage Pinor Noir 2005

실레니에서 생산하는 아이콘 와인으로, 뛰어난 장기 숙성 능력을 지니며 우아한 농축미를 느낄 수 있는 와인. 검붉은 과실 향에 스파이시한 아로마가 복합적으로 올라오며, 부드러운 타닌과 안정적인 밸런스를 갖췄다. 마치 피노누아의 색다른 면모를 보여주듯 강인한 인상을 남긴다.

 

글_ 안미영

 

* 와인21닷컴에 보도된 기사입니다.

Posted by Miyoung Ahn
,